출처 : jtbc뉴스 팩트체크

가을학기로 한다면 합사과정은 어떻게 되는것인가?
원래 3월에 1학기를 시작해서 7~8월 여름방학, 다시 2학기를 지나 12월에 겨울방학을 한 뒤 잠깐 다시 2월학기를 하고 봄방학을 하고 학년이 바뀌게 되는데
가을 신학기제를 도입하게 되면 8월중순이나 9월에 신학기를 시작해서 겨울방학을 아주 짧게 한 후에
2학기를 마친 뒤 6월부터 세달가까운 긴 여름방학을 보내고 다시 8월중순이나 9월에 새학년을 맞이하게 되는겁니다.
우리나라와 일본만 봄에 시작한다는게 맞나?
우리와 일본말고 호주에서도 3월에 학기를 시작하기는 하는데 남반구이기때문에 3월이 가을이므로 사실상 가을신학기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원래 소련이나 중국식으로 가을 신학기를 해왔었는데 90년대 후반에 빨리 졸업생을 배출해서 현장에 투입하자는 취지로 바꿨다고 알려져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건가요?


역사를 좀 짚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개화기 때 오히려 미국이나 유럽의 교사들을 모셔오기 위해서 가을 신학기제를 도입해 왔습니다.
일제 강점기때 일본식의 4월에 시작하는 신학기제가 도입이 됐습니다.


그러다가 이제 해방후에 미 군정기동안 미국식으로 다시 9월에 시작하는 2학기제로 돌아가게 됐는데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이 되면서 다시 또 다시 4월 신학기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그 이유는 회계연도를 일단 일반 회계년도와 맞추고 장마철인 6월에 입학시험이 치러지니까 이것을 하반기로 옮기자. 이런 설명이었었는데 당시에도 일제때 했던대로 돌아가는거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5.16군사정권이 들어서고 나서 이보다 한달 앞당겨 3월에 시작하게 되는데요
그때 이유는 겨울에 학교 난방비가 많이 드니까 1~2월에도 방학을하자 이런 이유에서 였습니다.

대안 1)
교육개발원이 낸 첫번째 대안
2016년 8살 -> 3월에 초등학교 입학
2016년 7살 -> 9월에 초등학교 입학
▶ 3월입학자와 9월입학자가 다 있게 됨
▶ 한 학년 아이들과 학부모들에게 모든 희생을 떠넘기는 방식
그래서 나온 대안


2) 6개월 단축안.
한 해를 정해서 학생들이 1년을 다 마치지않고 6개월만 다녀도 한학년을 수료해서 다음 학년으로 넘어가게 하자는 것
▶교과과정의 문제


3) 6개월 연장안.
모든 학년을 아예 한 학기씩 더 다니게 하자. 즉, 한 학기를 1년6개월을 다니게 하자는거

왜 추진을 하는 겁니까?
1. 의미없이 보내게 되는 2월학기를 해결하자
2. 여름방학을 길게해서 여러가지 활동을 할 수 있게 해주자
3. 요즘 학생수가 줄고있기때문에 가을학기를 계속 해왔던 외국유학생을 좀 더 쉽게 유치해서 내수진작에도 기여하자
ㄴ★이 이유가 가장 큰것으로 보입니다.
+)기자가 한 사설을 보여줬는데 지금과 다르지않습니다.
무려 1997년 사설인데말이죠.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종] 첨부서류필요없는 성남시 소상공인 경영안정비 신청방법 (+재난안전자금과 중복가능!) (4) | 2020.04.10 |
---|---|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방법별 신청기간, 신청방법 차이점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0.04.01 |
23일부터 공적마스크 대리구매 허용범위 확대 (임신부, 보훈대상자 중 상이자) (0) | 2020.03.23 |
코로나19 가짜뉴스(소금물,폐렴구균백신,비상약,치사율) + 팩트체크 추천 사이트 (0) | 2020.03.18 |
대구 경북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 vs 금지 청원이 나오게 된 배경 (0) | 2020.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