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아랍에미리트(UAE)사막에서 벼농사 쌀 수확 기대! 아프리카도 준비중

by ILOVEYUN 2020. 4. 18.
">

https://news.v.daum.net/v/20200101170151254

 

[단독]UAE 사막에 한국산 벼가 자라고 있다

2018년 3월 정상회담 이후 UAE 요청으로 벼농사 시동한국 기술로 사막서 벼농사하는 건 사상 최초 파종 후 18㎝까지 자라, 생육 상태도 양호4월 수확 성공 시 사막화 방지·식량난 해소에 단초 한국 연구진이 만든 벼 품종이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사막 한복판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파종 후 20㎝ 가까이 자랐다. 알칼리성 모래 토양이라는 장애물만 넘으

news.v.daum.net

 

 

2015년 한국과 UAE 간 농업협력에 양해각서(MOU)를 체결 하였습니다.

농촌진흥청 김경규 청장은 "국토 대부분이 사막지대인 UAE는 식량안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나라로 스마트팜 등 첨단농업을 통한 농산물 자체 생산에 관심이 많은 나라"라며,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 등 경쟁력 있는 농업기술의 전파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UAE에 농업한류바람을 일으켜 중동뿐만 아니라 아프리카까지 우리의 우수한 농업기술을 수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할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기술로 사막에서 벼농사 하는 것은 사상 최초로 4월 수확 성공 시 사막에서 쌀 생산이 가능 합니다.

 

 

 

농진청은 현지 재배에 들어가기 전에 국내 실증을 거쳤다. UAE 토양 환경과 가장 유사한 전북 김제 광활면에서 8개 품종을 시험 재배했다. 이곳은 간척으로 토양에 모래 성분이 많고 염분도 포함돼 있다. 실증 결과 2개 품종이 최종 선택됐다.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열대기후 품종 ‘아세미’와 염분에 강한 해외 품종 ‘FL478’이 그것이다

 

또한 한-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이하 KAFACI)의 다수성 벼 개발 과제로 아프리카 벼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새 품종을 말라위와 말리, 두 나라에 아프리카 최초로 등록했다고 하는데요.

등록한 벼는 우리나라의 ‘통일벼’와 아프리카 토종벼를 활용해 개발한 Makafaci와 Kachangu(말라위), KAFACI1(말리) 세가지 품종으로, 현지 농가에 보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것이 성공하게 된다면, 국제사회의 난제인 식량난을 풀어나갈 수 있는 유일한 나라가 될 것 이라고 하네요.

 

 

  ※ KAFACI의 아프리카 다수성 벼 개발 과제 수행 19개 나라
     가나, 가봉, 나이지리아, 르완다, 말라위, 말리, 모로코, 브루키나파소, 세네갈, 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DR콩고, 케냐, 탄자니아

 

 

 

 통일벼 기본 아프리카 적응 다수성 벼 품종 등록: 2국 3품종

  말라위 2품종(Makafaci,  Kachangu), 말리(KAFACI1)

 통일벼 기반 다수성 벼 품종의 지역적응성 시험:6국 46계통

   우간다(6), 케냐(3), 말라위(12), 말리(4), 수단(15), 가나(6)

 장기적 관점의 육종기술 발전을 위한 육종 실무자 장기 훈련: 10국 10, 4개월(20년 10국 10명 추진 계획중)

 

 

 

 

 

 

 

 

 

http://www.rda.go.kr/viewer/doc.html?fn=farmprmninfo1000007602660&rs=/upload/board/farmprmninfo/result/202004/

 

 

 

이미 2009년부터 우리 농업 기술을 전파하며 열일하는 농촌진흥청

 

 

 

사막에서 하는 벼농사라니... 꼭 성공해서 한국의 맛있는 밥맛을 모두모두 알면 좋겠네요!

한국인은 밥심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말이 아니다. 한국쌀 최고!!  밥솥도 한국산이 최고!! 

부디 성공해서 아프리카 식량난도 해결되면 정말 좋겠네요.

 

 

불펌금지! 글이 도움 되셨다면 공감 후 링크 공유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게 있다면 댓글주세요~^^

댓글